[메디컬프라임 백현우 기자] 혁신신약기업 큐리언트가 Axl/Mer/CSF1R 삼중 저해제 아드릭세티닙(Adrixetinib, Q702)의 임상 1b상 시험계획이 스페인 의약품 및 의료기기국(AEMPS)으로부터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승인은 큐리언트가 지난 2025년 7월 임상시험 신청서(CTA)를 제출한 이후 획득한 첫 번째 유럽 국가 임상시험계획 승인이다. 큐리언트는 비혈연 조혈모세포 공여자 등록 시스템이 발달해 GvHD 환자 발생률이 높은 유럽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환자 모집 및 임상시험 진행에 나설 계획이다.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은 혈액암 환자의 조혈모세포 이식 후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현재 스테로이드나 JAK1 저해제 등이 치료에 활용되고 있으나 장기간 투약 시 부작용이나 내성 문제로 인해 마땅한 대안이 없는 미충족 의료 수요가 높은 질환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사이트(Incyte)와 신닥스(Syndax)가 차세대 치료제로 공동 개발한 CSF1R 항체 닉팀보(Niktimvo™, Axatilimab)가 다음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큐리언트의 아드릭세티닙은 닉팀보와의 명확한 차별성을 기반으로 계열 내 최고(Best-in-Class) 신약으로서 입지를 다질 계획이다.
항체치료제인 닉팀보가 정맥주사 제형인 데 반해, 아드릭세티닙은 경구제형으로 지속적 투약이 필요한 환자들의 복약 편의성이 훨씬 높다는 강점을 가진다.
동시에 Axl/Mer 저해 기전을 바탕으로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치료제로 개발되는 만큼,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환자의 잔존 암 치료 및 재발 방지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면서, 원발 암 치료부터 치료 후 부작용 치료까지 담당할 수 있는 최초의 치료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메디컬프라임 / 백현우 기자 bcbc703@hanmail.net
관련기사
- 큐리언트, AACR-NCI-EORTC에서 이중 페이로드 ADC 및 신규 페이로드 플랫폼 공개
- 큐리언트 텔라세벡, ID Week에서 호주 40명 임상 결과 발표
- 큐리언트 아드릭세티닙, 국가신약개발사업 지원 과제 선정
- 한국보건복지인재원 경인교육센터, 경기도장기요양요원지원센터와 장기요양 서비스 질 향상 협력
- 환우 작가 4인 그룹전, '보이지 않아도 여기 있다 – Here, Unseen' 개최
- KMDP, 서울첼로오케스트라와 조혈모세포 기증자 초청공연 개최
- 바디텍메드, MEDICA 2025에서 차세대 현장진단 풀라인업 공개
- GC녹십자, 국내외 학회서 ‘mRNA-LNP 플랫폼’ 성과 발표
- 식약처, 이물 혼입된 ‘혼합음료’ 회수 조치
- 식약처, 자료보호 기간 종료 의약품 특허정보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