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프라임 백현우 기자] 주식회사 리소리우스(Risorius) (대표 배상윤)가 뇌파(EEG) 기반 딥러닝 분석 기술을 활용해 개인별 중추신경계 대상 약물 반응성을 예측하는 인공지능 플랫폼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리소리우스는 정신건강의학과, 신경과 의료 현장에서 가장 어려운 과제로 꼽히는 약물 반응성 예측 문제를 뇌파 분석 기술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뇌파 데이터는 비침습적으로 간편하게 신경활동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방법이지만, 데이터의 전처리 및 표준화가 어려워 사용 사례가 많지 않았다.리소리우스는 EEG 데이터의 전처리와
[메디컬프라임 윤성종 기자] 차세대 엑소좀 추출 기술 플랫폼 기업 마이크로젠타스(대표 신세현)가 11월 9일부터 11일까지 제주 국제컨벤션센터(ICC JEJU)에서 열리는 한국엑소좀학회 2025(KSEV2025)에서 독일 EV 분석장비 기업 파티클메트릭스(Particle Metrix GmbH)와 공동 Wet Lab 실습 세션을 진행한다마이크로젠타스와 파티클메트릭스는 2023년부터 국제엑소좀학회(ISEV)를 통해 협력 관계를 이어왔으며, 이번 KSEV2025에서 처음으로 공동 실습 세션을 선보인다. 이번 데모 세션은 마이크로젠타스가
[메디컬프라임 백현석 기자] 3D바이오프린팅 인공피부 개발 기업인 클리셀 연구진은 3D바이오프린팅 기반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huma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 전층 인공피부(CLE-iFTs)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이번 연구에서 연구진은 iPSCs로부터 분화한 섬유아세포(Fibroblast)와 각질세포(Keratinocyte)를 이용해 전층 인공피부 모델(CLE-iFTs)을 3D 바이오프린팅 기술로 성공적으로 구현했다.3D바이오프린팅 기술로 제작한 iPSCs 기반 인공피부 모델은 기존
[메디컬프라임 윤성종 기자] 국내 체외진단 전문기업 SML제니트리(SML Genetree)가 일본 성병(STD) 진단 시장에 본격 진출하며 글로벌 분자진단 시장 공략에 나섰다.SML제니트리는 일본 JACLAS(일본임상검사기기·시약협회) 전시회를 방문하고 일본 내 주요 파트너사들과 비즈니스 미팅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에서는 단순한 제품 공급을 넘어 양사 간 연구개발 협력, 인허가 공동진행, 제조 현지화 등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했다.일본 성병 진단 시장은 2023년 기준 약 4억달러(한화 약 5500억원
[메디컬프라임 백현석 기자]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Agilent Technologies Inc.)가 충남대학교(CNU)와 업무 협약(MOU)을 체결하고 지역 연구 역량 구축에 초점을 맞춘 ‘CNU-애질런트 오픈형 바이오제약 연구 허브(Open Biopharma Research Hub for CNU-Agilent, 약칭 ORCA)’를 설립한다고 발표했다.이 허브는 5년간의 협력을 통해 중개 연구 및 인재 양성을 위한 세계적 수준의 분석 인프라를 제공해 한국 바이오제약 생태계는 물론 그 외 산업의 발전을 지원할 예정이다.대전 충남대 캠
[메디컬프라임 윤성종 기자] 마이크로바이옴 헬스케어 전문 기업 에이치이엠파마(HEM Pharma)는 건국대학교 김주원 교수 연구팀과의 국제공동연구 성과가 세계적인 생체재료 과학 분야 권위지인 View (Impact Factor 8.5, JCR 상위 7.3%, 2025년 기준)에 표지 논문(Cover Paper)으로 발표됐다고 밝혔다.이번 연구는 노화로 인한 조직 손상의 근본 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타깃으로 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한 것으로 글로벌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공동 연구 기관인 에이바이오테크의 서우영 대표가 논문의
[메디컬프라임 윤성종 기자]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전문 기업인 입셀(YiPSCELL)은 최근 일본의 제약사인 오노약품공업(Ono Pharmaceutical CO., LTD.)과 iPSC 기반 약물 효능평가 서비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계약을 통해 YiPSCELL은 iPSC 유래 세포 및 오가노이드 모델을 활용해 신약 후보물질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전개할 예정이다. iPSC 기반 질환 모델은 환자 맞춤형 세포 환경을 재현할 수 있어 기존 동물실험의 한계를 보완하고, 신약 개발 과정에서 보다 정밀
[메디컬프라임 주형준 기자] 유전자 교정 기술을 선도하는 툴젠(대표 유종상)은 ‘2025년도 제2차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사업 중 희귀 난치 질환 등 미정복 질환 극복을 위한 BEACON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됐다.연세대학교 변석호 교수팀이 주관하는 ‘한국인 유전성 망막 질환의 주요 원인 변이에 대한 유전자 편집 치료제 개발’ 과제(총 정부지원금 148억원)에 공동연구 개발기관으로, 해당 과제의 총 사업기간(2025년 8월부터 2029년 12월까지) 중 툴젠의 과제 참여 기간은 2027년 1월부터 2028년 12월까지이다.유
[메디컬프라임 주형준 기자] 분자진단 전문기업 팍스젠바이오(대표 박영석)가 브라질 시장에 대한 본격적인 수출을 시작하며 글로벌 시장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팍스젠바이오는 자사의 주요 제품인 STI12, HPV, ULFA Reader 등 분자진단 제품을 브라질에 선적했다고 밝혔다. 이번 출고 물량은 브라질 시장 내 공급 확대의 신호탄으로, 향후 현지 유통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판매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중남미 지역에서는 볼리비아, 브라질을 비롯해 지난해 칠레, 베네수엘라 진출에 성공했으며, 최근에는 페루 신규 시장에도 진입했다.
[메디컬프라임 주형준 기자]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헬스케어 기업 에이치이엠파마(대표 지요셉)가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김주원 교수팀, 울산대학교병원 조재철 교수팀과 함께 수행한 산학 공동연구 성과가 국제학술지 MedComm(IF: 10.7, JCR 상위 6.9%)에 게재됐다.해당 논문은 ‘Gut microbiome and metabolome dynamics as predictors of clinical outcomes in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으로 출판됐으며, 조혈모세포이식(Hemato
[메디컬프라임 백현석 기자]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치료제 전문기업 입셀(대표 주지현)이 글로벌 생명과학기업 Thermo Fisher Scientific과 ‘iPSC 유래 세포치료제 폐쇄식·자동화 제조 플랫폼’ Cell and Gene Therapy Vision Center (이하 CGT Vision Center) 연구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옴니버스파크 입셀 사무실에서 현판식을 열고 연구에 착수한다.입셀은 지난 4월 17일 가톨릭대학교·서울성모병원과 함께 국내 최초로 iPSC 유래 치료물질을 환자에게 투
[메디컬프라임 백현석 기자] 입셀이 가톨릭대학교 및 서울성모병원과 공동연구를 통해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활용한 임상연구를 국내 최초로 수행하고, 첫 번째 환자 투여에 성공했다.특히 3차원 형태로 주사 주입하는 iPSC를 골관절염 치료에 활용한 것은 국내를 넘어 세계 재생의료 분야에서도 이정표가 될 성과로 평가된다. 이에 따라 향후 상용화를 위한 투자 유치와 글로벌 진출에 한층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이번 임상연구는 △서울성모병원 주지현 교수팀 △가톨릭대학교 유도만능줄기세포응용연구소 임예리 교수팀 △입셀 남유준 박사팀이 긴밀히
[메디컬프라임 백현우 기자] 정밀의료 기반 바이오테크 기업 포도테라퓨틱스(PODO Therapeutics)는 오는 4월 미국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 2025)에서 암 오가노이드와 면역세포 공배양 플랫폼을 활용한 정밀 치료 반응 예측 연구 성과를 공개한다고 밝혔다.이번 학회에서 포도테라퓨틱스는 총 2편의 포스터 발표를 통해, 자사 플랫폼이 면역항암제(ICI) 및 방사선 치료에 대한 환자별 반응을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예정이다.첫 번째 포스터 발표는 폐암, 위암, 직장암 환자 유래 암 오가노이
[메디컬프라임 윤준혁 기자] 백신 개발 전문기업 셀리드가 ‘BVAC-C’와 면역관문억제제Durvalumab (아스트라제네카)의 병용투여 연구자주도 임상시험(IIT, 연구책임자 삼성서울병원 김병기 교수)의 중간결과 업데이트 내용을 미국부인종양학회(SGO)에서 삼성서울병원 최철훈 교수가 구두로 발표했다.셀리드의 BVAC-C와 면역관문억제제Durvalumab (아스트라제네카)의 병용투여 연구자주도 임상시험은 일차 표준항암치료에 실패한 HPV type 16 또는 18에 양성인 자궁경부암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삼성서울병원을 비롯한 서울대병
[메디컬프라임 백현우 기자] ㈜에스엘에스바이오(대표이사 이영태)가 바이오 의약품, 진단키트, 식품 검사 등 신사업을 확대하며 다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밝혔다.먼저, 기존 이화학 중심의 의약품 품질관리 사업을 백신, 항체 치료제,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 등 바이오 의약품 품질관리 분야로 확장 중이다. 지난해 초에는 코로나19 및 신종 독감 백신 등의 품질 관리를 위한 기술 이전을 완료한 바 있다. 하반기에는 6개 항체 의약품을 신규 수주해 현재 기술 이전을 진행 중이며, 이를 통해 바이오 의약품 품질관리 사업 비중이 전년에 비해
[메디컬프라임 백현석 기자] 서울바이오C&V(대표 이성권)는 충북 청주시에 200평 규모의 국제규격의 첨단 시설 갖춘 비임상평가연구소를 공식 개소한다.신설된 비임상평가연구소는 글로벌 규격의 최신 하드웨어와 GLP 운영지침(SOP) 기준의 소프트웨어를 갖추고 in-vivo 및 실시간 연계 분석 가능한 in-vitro등 비임상수탁전문기관(CRO) 서비스를 통해 국내외 제약·바이오, 보조제, 기능식품, 기타 등 산업에서 신약개발과 바이오 산업을 지원하게 된다. 연구소는 마우스 약 5,000두와 랫드 약 1,500두를 동시 사육할 수 있는
[메디컬프라임 주형준 기자] 엑소좀산업협의회(EVIA, 회장 최철희)의 회원사인 엑솔런스(Exollence)가 저명한 학술지 Journal of Extracellular Vesicles에 세포외소포(Extracellular Vesicles, EV)를 활용한 유전자 치료제 전달 플랫폼 기술을 지난달 26일 발표하며, 유전자 치료제 상용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이번 연구는 치료가 어려웠던 KRAS G12C 변이 암 유전자를 타깃으로 하는 siRNA를 EV에 효율적으로 탑재해 비소세포 폐암 모델에서 기존 블록버스터 약물인 루마크라스
[메디컬프라임 백현우 기자] 건국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사업단이 지난 7월 한 달간 ‘2024학년도 하계 바이오·제약 GMP (QA/QC) 직무교육’을 운영했다. 이번 교육은 거점형 프로그램으로 건국대 학생뿐만 아니라 지역 청년들에게도 참여 기회를 제공했다.바이오·제약 분야의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해 진행된 이번 교육은 이론 교육과 함께 실습과 기업 탐방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특히 GMP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이론 교육으로 바이오·제약 분야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필수적인 지식을 제공했으며, HPLC
[메디컬프라임 백현우 기자] 대웅바이오(대표 진성곤)가 바이오의약품 생산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우수 의약품 제조·관리 기준(cGMP) 수준의 바이오 공장을 구축하고 미생물 기반 바이오의약품 CMO 사업 확대에 나선다.대웅바이오는 기존 원료의약품(API) 전문 제조에서 바이오의약품 생산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는 한편 글로벌 시장 진출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대웅바이오는 미생물 기반 유전자재조합의약품 생산 역량을 강화하고 미래 성장 동력 확보하기 위해 원가 및 품질 경쟁력을 갖춘 cGMP 수준의 바이오 공장 설립을 추진 중이다.해당
[메디컬프라임 백현우 기자] 건국대학교 캠퍼스타운사업단이 6월 26일 서울 광진구 스타시티몰에 ‘스타시티 START-UP ZONE’을 마련하고, 바이오·푸드 분야 창업가를 지원하는 개소식을 진행했다.‘스타시티 START-UP ZONE’은 2호선과 7호선이 만나는 건대입구역 번화가에 위치한 스타시티몰 상가에 조성된 창업지원 시설이다. 서울시에서 비용을 지원하고 학교법인 건국대에서 공간을 제공했다. 건국대 캠퍼스타운사업단은 해당 공간을 바이오(푸드·펫) 분야 기업 지원에 활용할 예정이다. 전체 436㎡ 규모에 독립공간 10실과 공유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