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프라임 윤준혁 기자]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임채홍 교수팀은 최근 폐암 희소전이 (oligometastasis) 치료에 수술이나 방사선치료가 유효함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외과 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 (Impact factor: 13.4)’에 최근 게재됐다.
통계청의 2021년 사망원인통계 결과에 따르면 폐암은 국내 암 사망 원인 중 1위로, 예후가 좋지 않은 암종 중 하나다. 특히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는 4기로 간주되어 완치가 어렵고 완화적 목적의 항암제 치료만이 유일한 대응 방법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 수술 및 방사선치료 기술의 발달로 희소전이(전이 병소가 3~5개 미만으로 절제 혹은 방사선치료가 가능한 범위의 전이)에 대한 적극적 치료가 가능해졌는데, 이에 연구팀은 1750명의 환자, 20개의 연구를 포함한 대규모 메타분석을 통해 희소전이 폐암에서 수술 및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평가했다.
그 결과, 수술 및 방사선 치료 등의 국소 치료를 시행한 군에서 생존기간의 중위값은 33.6개월에 달한 반면, 항암제나 고식적 치료를 진행한 군의 중위값은 15개월에 불과했다.
또한 2년 생존율의 경우도 각각 58.4%, 31%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메타분석 결과에 의하면, 국소 치료의 수행은 기존 보존적 치료에 비해 2년 생존율(교차비 3.5, p<0.001) 및 1년 무재발 생존율(교차비: 3.7, p<0.001) 모두에서 유익이 있었으며 잘 설계된 무작위 연구만 추출해서 분석하였을 때도 일관된 결과가 나타났다.(교차비 4.1, p<0.001; 교차비 5.0, p=0.001)
국소 치료의 효용은 희소전이 사례 중 동시 진단(원발암, 전이암이 동시에 발견됨), 잔여 전이(항암제 반응 후 일부 남은 전이 병소)에서 더 두드러졌고, 희소 재발이나 진행(안정 후 전이 병소가 재발하거나 진행된 상태)에서는 효용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고려대안산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임채홍 교수는 “이번 연구에 포함된 환자는 2018년 이전의 환자군으로 더발루맙과 같은 최신 면역항암제가 승인되기 전의 데이터이며, 최신 면역항암제 등이 수술이나 방사선치료에 더해진다면 희소전이의 예후는 이보다 더 좋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안산병원 교수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사업에 다수 선정
- [안산병원] 핵의학과 박기수 교수, 운동의 항스트레스 효과 세계 최초 영상화
- [동탄성심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외래 및 검사실 확장 개소
- 흉부 방사선 영상에서 놓치기 쉬운 조기 폐암 신속한 진단에 AI의 역할 확인
- 식약처 차장, 어린이날 계기 식품안전관리 강조
-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인생 100년, 건강 CEO 교실’ 최고위과정 제1기 입학식 거행
- 전남대병원, 승모판 역류증 환자에 경피적 승모판막 성형술 성공
- 항암 효과가 있는 면역 조절 단백질의 기전 규명에 대한 연구 탑 과학저널 게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