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여름철 지속될 더위에 열사병, 열탈진 등 온열질환 주의 필요

[메디컬프라임 주형준 기자] 질병관리청이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5월 20일부터 9월 30일까지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를 운영한다.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는 전국 500여 개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이 관할 보건소 및 시·도, 질병관리청과 협력해, 응급실에 내원한 온열질환자를 파악하고 폭염의 건강영향을 감시하기 위해 운영한다.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지난해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로 파악된 온열질환자는 총 1,564명으로 전년 대비 13.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폭염 대비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 시작

신고된 온열질환자의 주요 발생 특성으로는, 남자가 여자보다 많았고 5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65세 이상 노년층이 전체 환자의 27%를 차지했고 인구 10만명당 온열질환자 수는 80세 이상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질환별로는 열탈진이 809명으로 가장 많았고 지역별 신고 환자수는 경기 353명, 경남 152명, 경북 142명, 충남 135명, 전남 124명, 서울 110명 순으로 나타났다.

발생장소는 실외가 1,285명으로 실내보다 4.6배 많은 것으로 조사됐고 실외 작업장 581명, 논·밭 230명, 길가 161명, 실내 작업장 127명 순으로 나타났다.

발생시간은 절반가량이 12~오후 5시 낮 시간대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별로는 단순노무종사자 395명, 무직 175명, 농림어업숙련종사자 153명 순이었다.

신고된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총 9명으로 60세이상 연령층, 실외 발생이 많았고 사망자의 추정사인은 모두 열사병으로 조사됐다.

지난해의 상세 온열질환 발생현황 통계는 질병관리청 누리집에서 제공하는 ‘2022년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신고현황 연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된 온열질환 발생현황 정보는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기간 동안 질병관리청 누리집을 통해 매일 제공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컬프라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