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프라임 백현우 기자] 울산대학교병원 외과 나양원, 박정익 교수팀이 난이도가 높은 췌장암 환자의 근치도(완치)를 확보하기 위해 새로운 수술법을 제시했다.
췌장암은 한국인 암 발생 9위, 암 사망 5위, 5년 생존율 7.8%에 불과할 정도로 예후가 매우 나쁘다. 완치를 위해서는 수술적 절제가 필수다. 췌장암세포는 췌장 주변의 림프절과 신경을 통해 퍼진다. 이에 암세포의 완전 절제가 어려운 암으로 꼽힌다.
췌장암은 수술 절제 범위에 대한 표준화가 없어, 병원 또는 의사에 따라 수술의 치료 성적이나 합병증에 큰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인 췌장암 수술은 해부학적 구조의 특성상 췌장의 머리부분(췌두부)의 오른쪽을 박리하며 수술을 한다.
하지만 나양원 교수팀은 췌장암의 왼쪽 면을 우선 공략하는 새로운 수술법을 개발해 최근 간담췌외과학회에서 발표했다. 좌측을 박리해 접근했을 경우 기존 대비 시야 확보가 좋아 암 조직을 박리가 원활해져 근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과 함께 접근의 어려움에 대한 솔루션도 제공하며 주목을 받았다.
췌두부의 좌측 조직면을 박리하는 것은 난이도가 높아 집도의의 해부학적 정밀구조에 대한 이해와 풍부한 수술경험 없이는 불가능하다. 그렇기에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도 매우 드문 수술법으로 꼽히고 있다.
이번 논문은 지난 3월 열린 한국간담췌외과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되어 우수상을 받았다. 이번 6월에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일본간담췌외과학회에도 심포지움 연제로 채택되어 발표됐다.
관련기사
- [성심병원] 문성훈 교수, 미국소화기질환주간(DDW2023) 초청 강연
- 한국인 췌장암 수술 표준 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 간이 커지는 희귀병 ‘다낭성 간질환’ 환자, 세브란스에서 간이식 성공
- 빅데이터를 이용한 만성 코로나19증후군 조사연구 중간결과 발표
- 울산대병원 이도왕 임상병리사, 세계 헌혈의날 표창 수상
- S-OIL, 울산대학교병원 ‘닥터카’ 운영후원금 1억원 전달
- 서울대병원 김용태·류지곤·이상협 교수, 건강서 '진료실에서 못다 한 췌장암 이야기' 출간
- 침습성 췌관내유두상점액종양(IPMN), 항암 지침 정립 근거 제시
- [건강정보] 얼굴색 노랗게 변하면 암까지 의심해봐야!!
백현우 기자
bcbc703@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