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프라임 윤성종 기자] 디지털치료제 개발 기업 하이(대표 김진우)와 아이엠재활병원(원장 우봉식)은 뇌졸중 디지털치료제 실증 및 사업화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하이와 아이엠재활병원은 뇌졸중 후 말·언어·인지장애 재활치료를 위한 디지털치료제 ‘리피치’의 공동 개발 및 실증 사업화에 관한 사항을 협력해나가기로 했다.
하이는 디지털치료제 플랫폼 전문 기업으로써 뇌졸중 후유장애 재활치료제 ‘리피치’, 경도인지장애 진단디지털 의료기기 ‘알츠가드’, 범불안장애치료제 ‘엥자이렉스’ 등 총 6개의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다.
충청북도 청주시에 위치한 ‘아이엠재활병원’은 재활의학과 전문의, 회복기 간호팀-재활치료팀-사회사업팀으로 구성된 ‘회복드림팀’을 보유한 지역 내 대표 회복기 재활병원이다.
뇌졸중 후 말 언어장애 디지털 진단치료기기인 ‘리피치’는 뇌졸중 환자가 스스로 자가 언어 훈련이 가능하도록 모바일 또는 태블릿 기기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주기적인 말 평가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며, 환자의 어려운 부분을 도와줄 수 있도록 맞춤화 된 언어치료를 제공 한다.
또한 언어 훈련과 동시에 얻어지는 환자의 음성을 분석해 소리 정확도, 피치, 소리 크기, 발성 길이, 조음 등 실시간 피드백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하이는 400시간 이상의 마비말장애 환자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음성 언어정보에 대한 음향 및 음성적 특징 데이터 전처리 및 딥러닝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뇌졸중 환자의 증가로 후유장애 고통을 받는 환자들이 점점 더 늘고 있다.
뇌혈관질환은 암, 심장질환과 더불어 국내 주요 사망원인 중 하나로 발생률과 유병률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질병통계에 따르면 뇌졸중 환자는 2015년 약 54만 명 대비 2019년 62만 명으로 약 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뇌졸중 환자의 약 50% 가 말 언어 인지 장애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활, 특히 언어치료는 종합병원 또는 재활병원에 집중되어 장기간 치료 혜택을 받기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1:1 치료 및 비급여로 진행되어 환자들에게 비용 부담이 높았다.
메디컬프라임 / 윤성종 기자 stanleyoon@naver.com
관련기사
- 이른 더위에 열사병, 열탈진 등 온열질환 주의 필요
- 급성 뇌경색 환자, 증상 발생 후 ‘골든타임’ 이내 병원 도착 36.8% 불과
- 아이젠텍-메디안디노스틱, 동물감염병 현장진단 시스템 공동개발 및 사업화 MOU
- 웰스바이오, 아헬즈사와 ODM 사업 추진을 위한 MOU 체결
- 팀엘리시움-한국학교보건협회, 청소년 체형 불균형 관리 MOU
- 고대의대, 태국 랑싯의대와 MOU 체결
- 해조류 섭취 횟수 늘면 갑상선암 유병률 낮아져
- 뉴아인-동서울대학교, 산학협력 MOU
- 마비말장애 재활 디지털치료제 리피치(Repeech) 美 MGH ‘임상연구’ 승인 획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