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목동병원 난임 및 가임력보존센터 화제
[메디컬프라임 백현석 기자] 환자 A씨는 6년 간 난임을 겪고 있었다. 임신을 원해 고민하던 중 유방암을 진단받게 된 A씨는 가임력 보존을 위해 산부인과 진료를 받았고, 유방암뿐 아니라 자궁내막 용종이 발견됐다.
A씨는 이대목동병원(병원장 김한수)에서 외과 및 산부인과 협진을 통해 수술을 받게 됐고,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대여성암병원 유방암센터 안세현 교수(외과)와 이대목동병원 난임 및 가임력보존센터의 긴밀한 협진을 통해서 A씨는 유방암 치료 후의 임신을 미리 계획하고 체외수정술을 시행했다.
난임 치료를 담당한 난임 및 가임력보존센터 이주혜 교수(산부인과)는 “당시 A씨는 체외수정 시술 시 난소기능 저하 및 정자 기능 저하로 수정이 어려웠다”고 밝혔다.
이식 실패 후 A씨는 “임신을 포기하고 싶었으나 마지막으로 한 번만 더 시도해 보자는 주치의 교수님을 믿고 용기를 내어 배아이식을 결심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 결과 올해 2월 건강한 만삭아를 출산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교수는 “여성암 환자들은 암 진단과 동시에 항암 및 방사선 치료를 받는 경우가 많고, 특히 유방암의 경우 항호르몬제 치료를 하며 임신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며 “환자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암 치료 후에도 임신이 가능하도록 돕고 있다”고 전했다.
다양한 특성화 병원을 통해 전문적으로 암을 치료하면서 미래의 임신을 위한 산부인과 가임력 보존치료까지 즉시 가능한 이대목동병원은 난임의 위험이 높은 유방암, 악성 림프종 및 혈액암 환자들에게 각 진료과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서 가장 빠르고 적절한 최신의 가임력 보존치료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들에게 산부인과와 연계를 통해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까지 맞춤식으로 관리하는 유기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이대목동병원 난임 및 가임력보존센터는 최근 여성암 환자들의 성공적인 임신과 출산이 점차 늘고 있어 엄마가 되고 싶은 여성들의 희망이 되고 있다.
한편, 이대목동병원은 양천구에서 체외수정 및 가임력 보존치료를 할 수 있는 유일한 상급종합병원으로 난임 시술 의료기관 평가에서 ‘체외수정시술 1등급’을 획득했다.
메디컬프라임 / 백현석 기자 bc703@naver.com
관련기사
- 마리아병원, 고령 환자 맞춤형 치료 자체 개발 시스템 도입
- [SNUH 건강정보] 다양한 ‘여성호르몬’ 치료 방법 및 주의사항 소개
- IVI RMA Global과 Lavima Fertility, 난임 치료 연구 위해 손잡다
- 서울아산병원·월드쉐어 협력으로 키르기스스탄 소녀, 한국서 희망 되찾다
- [이대대동맥혈관병원] 캄보디아서 발생한 급성 대동맥박리증 환자 ‘에어앰뷸런스’로 이송
- CAMA 앱 사용 유방암 환자, 우울·불안 감소 효과
- 차세대 유방암 예후 예측 검사인 ‘온코프리(OncoFREE)’, 온코타입DX(OncotypeDX)와 유사한 예후 예측 성능 보여
- [의정부성모병원] 나프로임신센터 축복식, 6월 난임클리닉 개시
- 동대문구가족센터, 난임부부를 위한 심리・정서 지원 확대
- 임신준비 및 난임치료 돕는 앱 ‘블룸’ 공개
- 서울대병원, 대장 용종 정밀 분류 AI 시스템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