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 여부·약물 치료·칸디다 감염 따라 미생물 생태계 달라
[메디컬프라임 백현우 기자]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산부인과 김민정 교수 연구팀이 당뇨병 여성의 경우 건강한 여성에 비해 질내 마이크로바이옴이 현저히 낮아지고 변화되어 환자의 상황에 따른 치료 관리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산부인과 김민정 교수는 서울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김명신 교수, 인천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승옥 교수와 함께 제2형 당뇨병을 진단받은 여성 71명과 건강한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질내 미생물 상태를 분석,
폐경 여부, 칸디다 감염 유무, 나트륨-포도당 공동수송체 2(SGLT2) 억제제 복용 여부에 따라 당뇨병 여성은 건강한 여성에 비해 질내 유익균 비율이 현저히 낮고, 반대로 유해균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마이크로오가니즘(Microorganisms, IF 5.1, 2025년 6월 25일자)에 게재됐다.
건강한 여성과 달리, 당뇨병 여성은 건강한 여성에 비해 질내 유익균인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비율이 현저히 낮았고, 유해균 및 혐기성 세균이 상대적으로 증가했다.
특히 폐경 이후에는 유익균 중심의 군집(CST I)이 감소하고,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군집(CST IV)이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칸디다 감염이 있는 경우에도 유익균 비율이 감소하고, 유해균 비율이 증가하여 균형이 깨진 마이크로바이옴 상태를 보였다.
또한 혈당강하제인 SGLT2 억제제를 복용한 폐경전 여성에서 유익균 보호 효과를 보인 반면, 폐경후 여성에서는 급격한 질내 마이크로바이옴의 균형이 깨짐을 확인하였다.
메디컬프라임 / 백현우 기자 bcbc703@hanmail.net
관련기사
- [건강정보] 증가하는 유방암 환자, 조기 발견과 치료로 관리 가능
- CAMA 앱 사용 유방암 환자, 우울·불안 감소 효과
- 여성 건강 연구에 집중하는 전문 연구소 ‘피지컬리닉(Physicalinic)’ 공식 오픈
- [건강정보] 젊은층이 방심하기 쉬운 유방암, 자가검진 습관 들여야
- 경희대 공동 연구팀, 루푸스 발병 핵심 유전변이 규명
- 대웅제약 엔블로, 체중 변화와 관계없이 ‘렙틴’ 수치 감소
- 서울공대 고승환 교수팀, 반창고처럼 피부에 붙여 실시간 연속 측정하는 웨어러블 혈압계 개발
- 서울공대 강승균 교수팀, 항암 치료 부작용 최소화하는 전기-이온 이중영동 항암 치료 기술 개발
- 덜 달달 '손목닥터9988'로 어린이 당류 관리
- 제2형 당뇨병의 항노화 치료법 가능성 제시
- 조기 폐경 여성 복부대동맥류 발생 위험 ‘국내 최초’ 규명
- 식약처, 나트륨·당류 저감 식제품 15종 개발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