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의약품 분리배출 알고도 실천 못해

[메디컬프라임 백현석 기자]  환경재단(이사장 최열)이 지난 5월 9일부터 6월 8일까지 전국 시민 406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폐의약품 분리배출에 관한 인식·행동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환경재단과 의약품 운송 분야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글로벌 물류기업 퀴네앤드나겔이 함께하는 ‘지구처방전’ 캠페인의 일환으로, 올바른 폐의약품 분리배출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기획됐다. 

특히 폐의약품이 2017년 생활계 유해폐기물로 지정된 이후에도 수거율이 약 10%에 그치는 현실을 반영해 일상 속 폐의약품 처리 실태를 점검하고 정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폐의약품 분리배출 알고도 실천 못해
폐의약품 분리배출 알고도 실천 못해

폐의약품 분리배출 제도에 대한 대중의 인식은 높지만, 실제 이해와 실천은 부족한 ‘인지의 착각’ 현상이 확인됐다. 전체 응답자 4068명 중 93.8%(3818명)는 폐의약품을 분리배출해야 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이 가운데 92.3%(3525명)는 구체적인 배출 방법까지 알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실제로 분리배출 대상(조제약, 일반의약품 등)을 정확히 이해한 응답자는 1948명에 그쳤다.

최근 1년 내 폐의약품을 버린 경험이 있는 응답자 2264명 중 48.4%(1096명)는 종량제 봉투(32.9%), 싱크대·변기(7.0%), 집에 계속 보관(4.9%), 재활용품 수거함(3.6%) 등 일반 생활폐기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 이유로는 △수거함 접근의 어려움(30.9%) △정확한 배출 방법에 대한 정보 부족(28.9%) △수거함 위치 안내 미흡(24.0%) 등이 지목됐다. 특히 ‘종량제 봉투에 버렸다’고 응답한 시민 중 일부는 지자체의 공식 안내에 따랐다고 답해 지역별로 상이한 처리 지침이 시민 혼란을 초래하고 있는 현실도 드러났다.

폐의약품 분리배출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 과제로는 △수거함 확대 설치(34.8%) △인식 캠페인 강화(29.6%) △집 앞 또는 아파트 단지 내 수거함 설치(19.5%) 순으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이외에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나 지도 앱을 통해 수거함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면 이용하겠다는 응답이 88%, 올바른 배출을 인증하면 포인트를 제공하는 제도에 참여하겠다는 응답도 91%에 달해 디지털 기반 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기대감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설문에 참여한 시민들은 ‘아파트 분리배출함 인근이나 생활 동선상 접근이 쉬운 장소에 수거함을 설치해야 한다’, ‘노인이나 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다’, ‘‘폐의약품의 날’을 지정해 공동 수거 캠페인을 하자’ 등 생활 밀착형 실천 아이디어를 제안하며, 폐의약품 문제 해결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의지를 드러냈다.

메디컬프라임 / 백현석 기자 bc703@naver.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컬프라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