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프라임 백현우 기자] 경기도 저소득 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 지원사업에 태블릿 기반 디지털 재활 기기 '잼잼400'을 신규 품목으로 추가되면서,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과 재활 치료 기회를 동시에 확대될 전망이다.
2025년 시행 중인 장애인 보조기기 교부 지원사업 중 경기도 거주지 대상인 도비 지원 품목에 '잼잼400'이 새롭게 포함됐다. 태블릿과 재활 운동 애플리케이션 사용권으로 구성된 디지털 보조기기 패키지로,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과 재활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경기도는 중위소득 80% 이하(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포함) 등록 장애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자립과 사회 참여를 위한 다양한 보조기기를 무상 지원하고 있다. 기존에는 휠체어, 보행 보조기, 시각·청각 보조기 등 물리적 기능 중심의 장비가 주를 이뤘으나, 디지털 환경에서의 재활과 사회참여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잼잼400이 지원 품목에 추가됐다.
잼잼400은 단순한 기기 제공을 넘어 소근육 재활 콘텐츠를 담은 전용 앱을 통해 일상에서 지속가능한 재활 운동을 지원한다.
특히, 뇌병변, 뇌졸중, 뇌경색, 뇌출혈 등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환자를 위한 AI 인식 기반 움직임 개선 프로그램과 다양한 재활운동 유도 콘텐츠를 탑재해 재활이 필요한 장애인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디지털 접근성도 강화했다.
경기도 저소득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사업은 기기 교부 전 개인별 장애 특성과 생활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상담을 실시한다. 최종 선정된 대상자는 지정 업체로부터 제품을 전달받으며, 사용법 안내 서비스도 함께 제공받는다.
신청 대상은 경기도에 거주하며 장애인복지법 제32조에 따라 등록된 저소득 장애인이다. 주민등록상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신분증, 소득 확인 자료,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필요시 보조기기 전문 상담을 통해 기기 적합성을 판단한다.
메디컬프라임 / 백현우 기자 bcbc703@hanmail.net
관련기사
- 서울AI재단-한국보건의료정보원, 디지털 포용과 AI 기반 스마트 헬스케어 생태계 조성 위한 MOU
-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25년 중독 폐해 예방 캠페인’ 연말까지 진행
- 동아ST,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와 AI 기반 오가노이드 및 유전체 분석 활용 신약 개발 MOU
- 시노펙스, 랩온어칩 혈구 분석 카트리지 특허 출원
- 경기도, ‘아동·청소년 성착취 없는 안전한 경기도’ 위한 정책 라운드테이블 개최
- [충남대병원] 임상교육시뮬레이션센터 2025년도 간호대학 교원 임상연수
- 순천향대 서울병원, 환자 중심 약물알레르기 정보 공유체계 구축 사업 착수
- 비건 뷰티 '타가', 출산 지원 장려 캠페인 ‘보듬박스’ 출산 가정 지원 확대
- 세인트조지 의과대학, 성형외과의 매력과 성형외과 전문의가 되기 위한 여정 소개
- [칠곡경북대병원] 산부인과 정근오 교수,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창의연구형) 선정
- 2025년 장애인·노인 일상생활 지원 보조기기 체험박람회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