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프라임 윤준혁 기자] 은평성모병원(병원장 배시현) 안과 원재연 교수와 내분비내과 이정민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기초연구사업(국가아젠다연구·중견연구)에 연이어 선정됐다.
안과 원재연 교수는 연구주제 ‘난치성 망막질환 치료법 개발을 위한 3차원 세포 프린팅 기반 미세혈관-브루크막 모사 다층구조의 망막 모델 개발’로 국가아젠다연구에 선정됐으며, 2025년 9월부터 3년간 6억여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된다.
이번 연구는 조기 발견이 어렵고 기존 치료제도 증상 완화에 그쳐 근본적인 한계가 지적돼 온 당뇨망막병증과 노인성 황반변성 등 대표적인 실명 유발 질환을 대상으로, 실제 인체와 유사한 3차원 안구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질환의 진행 과정을 정밀하게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신약 후보 물질의 효능과 안전성을 검증할 수 있는 체계적인 연구 플랫폼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다.
내분비내과 이정민 교수는 연구주제 ‘저산소 미세환경 변화에 의한 인슐린유사성장인자 신호 경로 분석 및 갑상선안병증의 치료 전략 개발’로 중견연구(창의연구형)에 선정돼 2025년 9월부터 3년간 2억 1천만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된다.
갑상선안병증은 자가면역 반응으로 안와 조직에 염증과 부종을 일으켜 환자의 외모와 시력, 삶의 질 전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만, 현재 사용되는 스테로이드제나 항체 치료제는 효과가 제한적이고 재발과 부작용 문제가 크다는 한계가 있다.
이정민 교수는 환자 유래 세포와 동물 모델을 활용해 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IGF-1R 신호 경로와 이에 관여하는 핵심 단백질들의 작용 기전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자 개인별 특성에 맞춘 새로운 정밀·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할 계획이다.
메디컬프라임 / 윤준혁 기자 medicalprime77@gmail.com
관련기사
- AI 기반 의료영상 분석기업 크레스콤, ‘2025 혁신 프리미어 1000’ 프로그램 선정
- [충남대병원] 2025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주관기관 선정
- [칠곡경북대병원] 산부인과 정근오 교수,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창의연구형) 선정
- [서울성모] 수도권 유일 보건복지부 권역 모자의료센터 신규 선정
- [칠곡경북대병원] 감염내과 권기태 교수팀, 127억원 규모 ARPA-H 국책사업 선정
- 소아 희귀질환 환자맞춤형 혁신치료 플랫폼 개발
- [서울대병원] 변자민 교수, 보건복지부 ‘글로벌 의사과학자 양성사업’ 선정
- [한양대병원]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치료 잘하는 병원’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