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프라임 백현석 기자]  애브비가 자사의 탄탄한 항체-약물접합체(ADC: antibody-drug conjugate) 플랫폼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를 10월 17일에서 21일,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되는 2025 유럽종양학회(ESMO: European Society for Medical Oncology) 학술대회에서 공개할 예정이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다른 치료 옵션의 시급한 수요가 있는 난치성 종양을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애브비 포트폴리오 내의 텔리소투주맙 아디주테칸(telisotuzumab adizutecan), ABBV-706, 텔리소투주맙 베도틴(telisotuzumab vedotin) 과 같은 임상시험 항체-약물접합체들의 데이터가 다수의 발표 세션에서 소개될 예정이다.

애브비는 차세대 연구용 c-Met 표적 항체-약물접합체인 텔리소투주맙 아디주테칸에 대한 3건의 구연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텔리소투주맙 아디주테칸은 새로운 토포이소머레이스 I 억제제(Top1i) 페이로드(payload)를 가진 항체-약물접합체로,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진행성 고형암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단독요법 및 병용요법에 대한 1상 임상시험 결과가 발표된다.


애브비, 2025 유럽종양학회에서 고형암 표적 치료 새로운 데이터 발표

· 결장직장암 치료에서 베바시주맙(bevacizumab)과의 병용요법: 세 가지 이상의 이전 치료를 받은 바이오마커 미선별군인 진행성 결장직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NCT05029882)에서, 텔리소투주맙 아디주테칸2.4 mg/kg 과 베바시주맙 병용요법군(n=30)은 객관적 반응률(ORR: objective response rate)을 26.7% 달성한 것 대비해 현재 표준치료인 트리플루리딘/티피라실 (trifluridine/tipiracil)과 베비시주맙 병용군(n=20)의 ORR은 0% 였다. 3등급 이상 치료 관련 이상사례(TEAE: treatment emergent adverse events) 발생률은 각각 67%와 65%로 보고되었다.
 
·MET유전자 증폭형 고형암에서의 단독요법: 표준치료 이후 질병이 진행된 진행성 MET유전자 증폭형 고형암 환자 100명- 비소세포폐암(n=29), 결장직장암(n=22), 위식도선암(n=14), 그 외 16종의 기타 종양(n=35) -을 대상으로 한 연구(NCT05029882)에서, 텔리소투주맙 아디주테칸 단독요법은 모든 용량 및 종양 유형에서 객관적 반응률46%를 기록했다. 특히 비소세포폐암 환자(69%)와 위식도선암 환자(71%)에서 더 높은 반응률이 관찰되었다. 가장 흔한 3등급 이상 치료 관련 이상사례는 빈혈(40%)과 호중구감소증(34%)이었다.

·췌관선암(PDAC: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에서의 단독요법: 1차 치료 중이거나 치료 완료 후 질병이 진행된, 바이오마커 미선별군인 진행성/전이성 췌관선암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NCT06084481)에서, 텔리소투주맙 아디주테칸 단독요법으로 치료받은 환자의 전반적인 객관적 반응률은 24%였고, 1차 치료로 젬시타빈-나브-파클리탁셀(gemcitabine-nab-paclitaxel)을 투여받은 환자군의 객관적 반응률은 40%였다. 전체 환자의 10% 이상에서 발생한 3등급 이상 치료관련 이상사례는 빈혈(38%)과 호중구감소증(21%)이었다.


또한, 애브비는 재발성/불응성 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1상 임상시험 (NCT05599984)의 ABBV-706 관련 신규 분석 결과를 발표할 예정으로, ABBV-706은 SEZ6 표적 항체-약물접합체로 토포이소머레이스 I 억제제(Top1i)를 페이로드로 포함한다.

현재 소세포폐암 환자 1차 치료에서 백금기반 항암요법을 대체하기 위한 ABBV-706과 아테졸리주맙(atezolizumab) 병용요법을 평가하는 2상 임상시험(NCT07155174)이 진행 중이다.

메디컬프라임 / 백현석 기자 bc703@naver.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컬프라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