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프라임 주형준 기자] 백신 개발 전문 기업 셀리드가 국가 신약 개발 사업단(단장 박영민, 이하 ‘사업단’)의 2025년도 제2차 국가 신약 개발사업 신약 임상 개발 과제에 선정돼, 사업단과 ‘두경부편평상피세포암 치료제 BVAC-E6E7의 임상 1상 개발’ 지원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과제를 통해 셀리드는 HPV16 및/또는 HPV18 양성인 두경부편평상피세포암을 대상으로 하는 면역치료 백신 ‘BVAC-E6E7’의 임상 1상 수행과 임상 2상 진입 기반 마련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며 정부출연금 14억5000만원 규모의 연구개발비가 21개월간 지원될 예정이다.
이번 국책 과제는 ‘BVAC-E6E7’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 1상 수행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향후 임상 2상 진입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임상시험에 사용될 ‘BVAC-E6E7’ 완제의약품은 셀리드의 자체 GMP 생산 시설에서 제조돼 환자에게 투여될 예정이다.
셀리드는 자체 개발한 셀리백스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항암 면역치료 백신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자궁경부암 치료용 ‘BVAC-C’와 두경부암 치료용 ‘BVAC-E6E7’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BVAC-C’와 면역항암제 ‘더발루맙(Durvalumab)’의 병용투여에 대한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은 2024년 6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2024)에서 중간 분석 결과를 구두 발표했으며, 올해 3월 미국 부인 종양학회(SGO) 연례 학술대회와 6월 아시아종양학회(AOS)에서도 해당 병용요법 임상시험의 최신 중간 결과를 공개하면서 항암 면역치료 백신 분야에서의 기술력과 임상 경쟁력을 국내외 학계에 입증했다.
셀리드는 이번 과제 선정을 계기로 두경부암 면역치료 백신 ‘BVAC-E6E7’의 임상 1상 진입을 본격화할 계획이며, 연내 첫 환자 투여를 목표로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메디컬프라임 / 주형준 기자 medicalprime77@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