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프라임 백현우 기자] 이대비뇨기병원(병원장 이동현)이 진료개시 1년 만에 수술, 환자, 검사 등 모든 진료 부문에서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대비뇨기병원은 지난해 2월 이대목동병원 MCC A관(별관) 1~3층에 외래 및 검사실을 열고 진료를 시작했다.
진료개시 1년 만에 최고난도 환자를 담당하는 ‘비뇨기 4차 병원’의 역할을 수행하며 국내 비뇨의학계에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했다.
이대비뇨기병원의 성장세는 수술건수 증가에서 확연히 나타났다. 우선 전체 수술건수가 이대비뇨기병원 개원 전인 2021년도에 비해 2022년 30% 증가했다. (2022년 2월~2023년 1월)
주목할 만한 것은 로봇수술건수는 지난 2월부터 올해 1월까지 전년대비 3배 이상 증가했다는 점이다.
이대비뇨기병원 측은 “특히 로봇 보조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은 무려 6배 이상 늘었다”고 밝혔다.
로봇 보조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Radical Prostatectomy : Robotic)은 로봇을 통해 전립선을 제거하는 수술 중 최소침습적 방법으로 수술 후 후유증을 최소화한다는 장점이 있다.
외래 및 입원환자 증가도 눈에 띈다. 이대비뇨기병원이 문을 연 이후 외래환자 45%, 입원환자도 약 65% 늘어났으며 검사 부문에서도 방광내시경 70%, 전립선초음파 60%, 요속검사 40%가량 증가했다.
진료개시 1년 만에 진료 특성화를 추진한 것도 한몫했다. 의료계 특성상 대부분 잘하는 진료 분야에 집중하는 것에 반해 이대비뇨기병원은 기존 성공에 안주하지 않고 비뇨기 전 질환 특화를 모색했다.
이동현 이대비뇨기병원장은 “국내 최고로 손꼽히는 방광암, 인공방광센터에 만족하지 않고 비뇨기 모든 분야에서 최고가 되는 것이 이대비뇨기병원의 목표”라며 “이를 위해 전립선암센터, 신장암·부신종양센터 등 센터를 신설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이화의료원, ‘2023 이화 비뇨의학 심포지엄’ 개최
- 국제 보건의료 NGO 글로벌케어, 베트남·라오스 구순구개열 아동 100명에게 무료 수술 지원
- 아주대학교병원, 4주기 의료기관 인증 획득
- 이대목동병원 안정신 교수, 국제종양외과학회 학술상 수상
- 한양대학교병원, ‘2023년 전반기 정년퇴임식’ 개최
- 이대서울병원 김호승 교수, 국제종양외과학회 우수 발표상 수상
- [아주대학교병원] 보행분석실‧신경안이과 검사실 개소
- “유방재건수술 지방괴사 줄일 가능성 찾아”
- 이대목동병원, 보건복지부 '성장형 질환유효성평가센터 구축사업' 선정
- [이대목동병원] 비뇨의학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협업으로 인공방광 수술 받은 산모 출산 성공
- 건국대-건국대병원-스템엑소원 협업, 내시경 대신 소변으로 방광암 진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