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소 제어율 91.1%, 객관적 반응률 75.8%
[메디컬프라임 주형준 기자] 간암에서 고선량 방사선을 조사하는 체부 정위적 방사선치료(Stereotactic Ablative Radiotherapy, SABR)의 효과가 확인됐다.
연세암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성진실, 최서희 교수 연구팀은 소수 전이성 간암 환자를 대상으로 전이 병변에 체부 정위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했을 때 높은 안전성은 물론 91.1%에 달하는 우수한 국소 제어율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간암 분야 국제학술지인 ‘저널 오브 헤파톨로지’(Journal of Hepatology, IF 25.7)에 게재됐다.
소수 전이성 암이란 암 전이 초기 단계로 5개 이하의 장기에 부분적 전이가 일어난 상태다. 여러 부위에 암이 퍼진 다발성 전이암과는 다른 치료가 필요하다.
전이 병변에 수술 또는 방사선치료 등 국소 치료를 시행하는게 대표적이다. 이러한 국소 치료가 생존기간을 향상시킨다는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고 있지만 간암 분야에서는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체부 정위적 방사선치료는 국소 치료 중 하나다. 종양에 집중적으로 고선량을 조사할 수 있는 정밀 방사선치료 기법으로 치료 기간이 짧고 안전하며 효과적인 종양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면역항암제 등 약물 치료와 병합 시 치료 효과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연구팀은 소수 전이성 간암 환자를 대상으로 체부 정위적 방사선치료의 효과와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임상 연구를 진행했다.
2021년부터 2022년까지 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병변 62개에 체부 정위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했다.
1년 간 치료받은 부위에서 암이 재발하지 않는 확률을 뜻하는 1년 국소 제어율은 91.1%였고 종양 크기 감소를 보인 환자 비율인 객관적 반응률은 75.8%에 달했다.
2년 전체생존율은 80%, 질병 진행 없이 환자가 생존하는 기간인 무진행 생존기간은 5.3개월로 나타났다.
특히 원발성 간종양을 치료한 후 소수 전이가 발생하기까지 10개월 이상이 경과한 환자의 방사선치료 후 1년 무진행 생존율 24.4%, 중앙값 7.5개월로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또 치료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급성 부작용은 전체 환자의 10%, 만성 부작용은 7.5% 정도였다. 3도 이상의 심각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환자 스스로가 삶의 질을 평가하는 설문지 조사에서도 하락했다고 답한 케이스가 없어 만족도도 높았다.
메디컬프라임 / 주형준 기자 medicalprime77@gmail.com
관련기사
- 종양 성장돕는 ‘암연관섬유아세포’가 간암 면역치료 효과를 낮춘다!
- 만성 간질환자, 알파태아단백(AFP) 검사 받아야
- 다발골수종 암세포 잡는 자연살해세포 기능 회복방법 확인
- 연세대 보건대학원, 영국 보건안보청과 ‘감염병 대응책’ 논의
- [포토] 일본뇌염매개모기 감시 시작
- 부산시 권역호흡기전문질환센터, ‘결핵 예방의 날’ 합동 캠페인 실시
- 부산대학교치과병원, ㈜바이오세텍과 연구 교류 및 협력을 위한 MOU
- 뉴아인, 안구건조증 전자약 확증 임상 환자 모집
- [경북대병원] 내분비대사연구팀, 종양관련대식세포의 글루타민 대사 조절을 통해 간암 치료 방안 제시
- [연세암병원] 췌장암‧간암, 회전형 중입자치료기 가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