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질환 이해도 소폭 상승, 서비스 이용 방법 인지율은 감소
정신건강 문제 경험률 증가... 스트레스와 우울감 사례 급증
[메디컬프라임 이지은 기자] 국립정신건강센터가 전 국민의 정신건강 증진과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2024년 국민 정신건강 지식 및 태도 조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15세 이상 69세 이하 국민 3,000명을 대상으로 약 3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 부문에서, 정신질환 이해도는 4.05점으로 ’22년보다 0.1점 상승했으며, 부정적 인식(’22년 3.15점 → ’24년 3.12점)과 수용도(’22년 3.18점 → ’24년 3.22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인식이 개선된 항목으로는 “누구나 정신질환에 걸릴 수 있다”(’22년 83.2% → ’24년 90.5%), “정신질환은 일종의 뇌기능 이상일 것이다”(’22년 49.3% → ’24년 61.4%) 등이 있었다.
반면, “내가 정신질환에 걸리면 몇몇 친구들은 나에게 등을 돌릴 것이다”(’22년 39.4% → ’24년 50.7%), “정신질환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위험한 편이다”(’22년 64.0% → ’24년 64.6%),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방법을 알고 있다”(’22년 27.9% → ’24년 24.9%) 등의 인식은 악화되었다.
정신건강 상태 조사에서는 ‘평소 자신의 정신건강 상태’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55.2%가 ‘좋다’고 답했다. 전체 응답자의 78.8%가 ‘평소 건강한 정신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답했으나, 지난 1년간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한 비율은 73.6%로 ’22년(63.9%)보다 9.7%p 증가했다.
특히, “심각한 스트레스”(’22년 36.0% → ’24년 46.3%), “수일간 지속되는 우울감”(’22년 30.0% → ’24년 40.2%), “기타 중독(인터넷, 스마트폰 등)”(’22년 6.4% → ’24년 18.4%) 등의 문제는 10%p 이상 증가했다.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했을 때 도움을 요청한 대상은 ‘가족 및 친지’가 49.4%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정신과 의사 또는 간호사(44.2%), 친구 또는 이웃(41.0%) 순이었다.
정신질환 사례별 인식 조사에서는 주어진 사례를 통해 질환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총 3가지 사례(주요 우울 장애, 정신과적 증상이 불분명한 자살 사고, 조현병)에 대해 1,000명씩 조사한 결과, 주요 우울 장애를 정확히 인식한 비율은 43.0%, 조현병은 39.9%로 낮았다. 또한, “정신질환자는 위험하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64.6%인 반면, “사례와 같은 정신질환 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에게 위험하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매우 낮았다.
정신건강 관련 기관 인지도 조사에서는 ‘국립정신건강센터’ 인지도가 66.8%로 ’22년(65.6%)보다 1.2%p 증가했으나, 그 외 기관 및 상담 전화의 인지도는 감소했다.
국립정신건강센터 곽영숙 센터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22년 대비 정신건강 문제 경험률은 증가했으나,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방법을 아는 비율은 오히려 감소하였다”라며, “정신건강 문제는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며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육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라고 전했다.
'2024년 국민 정신건강 지식 및 태도 조사'의 상세 보고서와 과거 조사 결과는 국립정신건강센터 공식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메디컬프라임 / 이지은 기자 press@mhns.co.kr
관련기사
- 의사 집단행동 속... 정부, 비상진료체계 점검 나서
- 보건복지부, 출생통보제 시행 준비 완료... 모든 아동 보호 체계 강화
- [건강강좌] 아동청소년정신건강캠페인 대국민 공개강좌
- 윤우상 정신과 전문의의 ‘정신분석’ 대중 강의 개강
- 우울증, 이재는 침으로 진단한다!
- 보건복지부, 건강증진사업 성과대회 개최... 건강한 지역사회로의 도약
-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시작... 우울증·불안증 심리상담 바우처 제공
- 여름철 야생버섯 주의보... 독버섯 중독사고 예방 방법은?
- ‘정신질환 보도 가이드라인 1.1’ 홍보 및 활용을 위한 언론간담회
- 전기경련요법과 치료 저항성 조현병 환자의 뇌 구조 변화 연관성 규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