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ARPA-H 프로젝트 일환
[메디컬프라임 윤준혁 기자] 서울대병원(병원장 김영태)이 치료가 어려운 ‘삼중음성유방암 및 췌장암’을 극복하기 위해 혁신적인 신약개발 연구를 추진한다. 이 연구는 한국형 ARPA-H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되며, 2029년까지 연구비 150억원을 투입해 진행된다.
이 프로젝트는 국가 난제를 해결하고 국민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임무중심형 R&D 사업으로, 서울대병원은 미정복질환 극복 임무의 주관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 서울대병원은 서울대·KAIST·㈜퓨처켐과 공동연구단을 구성해 난치성 고형암 극복을 위한 신약개발에 나선다.
고형암(Cold tumor)은 위암·폐암·자궁암 등 신체조직에 발생하는 암종으로, 혈액암에 비해 면역반응이 약해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다. 특히 삼중음성유방암과 췌장암은 면역항암제에 반응하지 않는 대표적인 난치성 고형암으로, 치료가 어려울 뿐 아니라 전이될 경우 생존율이 낮기 때문에 새로운 치료법이 절실한 상황이었다.
이를 위해 서울대병원 공동연구팀은 ‘방사성 리간드 치료제’ 개발을 추진한다. 이 치료제는 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가 표지된 리간드(암에서 발현되는 특정 단백질을 표적해 결합하는 물질)를 이용한 차세대 표적 항암제로,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어 주변 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타 약물보다 내성이 적고, 기전이 간단해 임상 단계 활용이 용이하며, 체내 분포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약효 예측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적물질과 리간드를 신속히 발굴하고, 그 효능과 기전을 빠르게 테스트할 예정이다. 또한, 저용량으로 약물 안전성을 평가하는 마이크로도징 임상평가를 적용해 임상 진입 실패확률을 줄일 계획이다.
이를 통해 임상 후보물질 도출의 소요기간을 30% 이상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극대화해 초고속 임상 승인을 목표로 한다.
특히 서울대병원에서는 핵의학과 강건욱·윤혜원 교수, 유방내분비외과 한원식 교수, 간담췌외과 박준성 교수가 참여해 암세포를 배양한 오가노이드 모델을 구축하고, 다중분자영상 기술을 사용해 방사성 리간드 치료 기전을 검증할 예정이다.
또한, 서울대는 BI 기반 기초연구를 통해 표적물질 발굴을 주도하고, KAIST는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리간드를 최적화하며, ㈜퓨처켐은 임상용 시료 생산 및 생산 공정 구축을 담당한다.
메디컬프라임 / 윤준혁 기자 medicalprime77@gmail.com
관련기사
- 디지털 질환 관리 앱인 ‘슈가지니(SugarGenie)’, 환자 치료 질 향상 및 진료 과정 효율성 제고
- [동산의료원] ‘환자투약 안전관리 솔루션’ 구축
- 메디웨일, 망막AI로 ‘만성 폐쇄성 폐질환’ 조기 예측 가능
- 재생의료진흥재단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 활성화 지원’ 사업단 지정
- 다산씨엔텍, 줄기세포 이용한 수삼 유래 유산균 엑소좀 화장품 출시
- 아주대학교병원, ‘국산 의료기기 교육·훈련 지원센터사업’ 선정
- AdP 함유 크림 도포한 유방암 환자, 피부염 억제 및 색소침착 감소
- CAMA 앱 사용 유방암 환자, 우울·불안 감소 효과
- [중앙대병원] 김우중교수, 보건복지부 '글로벌 의사과학자 양성사업' 연구비 수혜
- 위암 수술 중 림프절 절제, 관절형 에너지 절삭기 활용한 로봇 수술 주목
- [충남대병원] 2025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주관기관 선정
- 삼중음성유방암, 맞춤형 면역치료로 종양 성장 억제·전이 감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