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소판 9만/μL 미만에서 즉각 출혈 2.7배, 지연 출혈 9.7배 위험성↑
[메디컬프라임 백현우 기자]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 소화기내과 현혜경‧허철웅 교수,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김태일 교수, 계명대학교 통계학과 손낙훈 교수 연구팀은 최근 연구를 통해 대장 용종 절제술 시 출혈을 예방하기 위한 혈소판의 최소 수치를 밝히고 출혈 위험도에 따른 맞춤 치료 전략을 제안했다.
정기적인 대장내시경과 용종 절제술은 대장암을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다만, 용종 절제술 후에는 출혈이 발생하기도 하며, 특히 혈소판 감소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 출혈 위험이 더욱 커질 수 있다.
기존의 치료 지침에서는 출혈 예방을 위한 혈소판 수치의 기준이 있었으나, 이는 진단 내시경 또는 조직검사에 한정됐다. 이에 연구팀은 대장 용종 절제술에서도 안전한 시술을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 시술 후 출혈에 혈소판 감소증이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소화기학회 공식저널(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에 최근 게재됐다.
연구팀은 세브란스병원‧용인세브란스병원에서 시행한 대장내시경과 용종 절제술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규모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실시했다. 연구에서는 총 21,562명의 환자, 41,930개의 용종을 분석했고, 다양한 변수를 보정하기 위해 성향점수 매칭과 가중치 분석을 병행했다.
연구 결과, 안전한 대장 용종 절제술을 시행하기 위한 최소 혈소판 수치는 9만/μL(마이크로리터당 9만 개)로 나타났다.
혈소판 수치가 9만/μL 미만인 환자는 대조군과 비교해 즉각 출혈 위험이 약 2.7배, 지연 출혈 위험이 약 9.7배 높았다. 고위험 시술(20mm 이상의 큰 용종에 대한 내시경 점막 절제술 또는 내시경 점막하층 박리술)에서는 10만/μL 미만에서 출혈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팀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저위험‧고위험 시술에 따른 안전한 혈소판 수치 기준을 제시하고, 출혈 위험이 큰 환자에게는 예방적 지혈술 및 비전기열적 절제술(cold snare)을 적용해 출혈 위험을 낮추는 등 환자 안전을 위한 실제 임상 적용 지침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대장 용종 절제술 시 출혈을 예방하기 위한 최소 혈소판 기준을 처음으로 명확히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특히 기존 지침이 진단 내시경 또는 조직검사에 한정된 기준만을 제시했던 것과 달리, 더욱 침습적인 시술인 용종 절제술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임상 기여도가 높다.
메디컬프라임 / 백현우 기자 bcbc703@hanmail.net
관련기사
- 녹십자수의약품, 심장사상충 예방 캠페인 통해 유기견 500마리 심장사상충 예방약 지원
- [서울대병원] 임상·유전체 통합 진료 지원 시스템 ‘SNUH POLARIS’ 정식 출범
- 서울대병원 연구팀, 2014년 개발한 소 심낭 유래 인공패치 장기 성능 분석
- 연세의대, 면역항암제 반응 환자 예측 AI 모델 개발
- 복잡한 심장혈관 시술에서 ‘7프렌치’ 도관 스너프박스 접근법 효과 국내 최초 분석
- 뇌척수액 내 면역세포 구조 이미지 활용해 AI 딥러닝 모델 개발
- [노원을지대병원] 모자의료 진료협력 시범사업 선정
- [양산부산대병원] 폐이식 연구팀, 폐이식 만성 거부반응 관련 공통 유전자 변이 규명
- 부산지역암센터, ‘위 건강의 날’ 맞아 건강강좌 개최
- 급성심근경색 경험자, 혈액암 발생 위험 높다
- 서울대병원, 대장 용종 정밀 분류 AI 시스템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