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프라임 백현우 기자] 독립 리서치 기업 그로쓰리서치(대표 한용희)는 8월 정기 리포트를 통해 글로벌 비만치료제 산업에 대한 심층 보고서를 발간하고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그로쓰리서치 장기지속형 비만치료제 산업보고서는 글로벌 제약사들의 임상 결과와 시장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였으며 조사 과정은 약 2주간으로 데이터 수집, 산업 동향 비교분석 등 과학적이고 다층적인 절차를 거쳐 최종 보고서로 완성됐다.
보고서는 2025년 제약산업의 핵심 화두로 ‘비만치료제’를 꼽았다. 특히 기존 주 1회 자가 주사 방식에서 벗어나 ‘월 1회’ 또는 ‘분기 1회’ 투여가 가능한 장기지속형 주사제가 기술 혁신의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복약 순응도 향상과 환자 편의성 증대를 통해 글로벌 시장 판도를 재편할 수 있는 결정적 변수로 평가된다.
현재 글로벌 시장은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와 일라이 릴리의 ‘마운자로’가 주도하고 있다. 두 약물은 평균 15~26%의 체중 감량 효과를 입증하며 블록버스터 지위를 확보했고, 2025년 1분기 기준 각각 3조7000억 원, 3조14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그러나 주 1회 자가 주사라는 제형적 한계는 여전히 복약 지속률 저하 요인으로 지적된다.
이에 따라 암젠의 ‘MariTide’, 노보노디스크의 ‘CagriSema’ 등 다수 글로벌 제약사들이 장기지속형 제형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임상 2상 단계에서 이미 평균 20% 이상의 체중 감량 효과를 입증하며 치료 효능과 편의성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이번 장기지속형 비만치료제 보고서는 한국을 장기지속형 제형 혁신의 주요 거점 국가로 평가했다. 펩트론의 ‘SmartDepot’, 인벤티지랩의 ‘IVL-DrugFluidic’, 지투지바이오의 ‘InnoLAMP’, 한미약품의 ‘Lapscovery’ 등 국내 기업들이 미립구 기반 약물전달 플랫폼을 확보하고 있으며, 높은 약물 봉입률과 방출 제어 능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빅파마의 기술 협업 요청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디앤디파마텍은 PEGylation 기술 기반 주사제 DD01을 미국 임상에 진입시켰으며, 펩트론은 상용화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기술 수출과 공동 개발을 확대하고 있다.
디앤디파마텍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PEGylation 기술은 간격자를 활용한 Y-자 형태를 취함으로써 약효는 유지하고 반감기를 크게 증대한다. 디앤디파마텍의 PEGylation은 일반적인 기술에 비해 적용 가능한 펩타이드 크기의 범위가 넓어 다양한 적응증으로 확대가 가능하다.
시장 전망도 밝다. 모건스탠리는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이 2024년 150억 달러에서 2030년 770억 달러 규모로 5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업계는 2026년을 기점으로 장기 지속형 제형이 본격 상용화되면서 시장 구조의 근본적 변화가 시작될 것으로 보고 있다.
메디컬프라임 / 백현우 기자 bcbc703@hanmail.net
관련기사
- 급성심근경색 경험자, 혈액암 발생 위험 높다
- 마이크로바, 4600명 이상 환자 대상 획기적 위장병 연구 결과 발표
- 노보텍, 비만 치료제 임상 개발 증가세에 주목
- 노보텍, 특발성 폐섬유증 글로벌 시장에 대한 전략적 인사이트 발표
- 노보텍, 감염질환 임상시험 동향 보고서 발표
- 셀리드, 항암면역치료백신에 적용된 NK세포 기술의 ‘러시아 특허 등록 결정’
- GC녹십자, 국내 최초 WHO GMP 실사 서면 대체
- GC녹십자, 메가존클라우드와 ‘AI 기반 품질문서 작성 지원’ 시스템 구축
- 그로쓰리서치, 경구용 비만치료제 산업 보고서 발표
- 그로쓰리서치, ‘MASH 치료제 산업 분석 보고서’ 발표
- 그로쓰리서치, ‘방사성의약품 산업 분석 보고서’ 발표
- 식약처, 실험동물 유래자원 종합안내서 개정 발간
- 그로쓰리서치, ‘ADC(항체-약물 접합체) 산업 대전환’ 보고서 발표
- 그로쓰리서치, ‘프로티아 탐방보고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