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프라임 백현석 기자] 충남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김섭 교수, 경희대학교 생명나노약학과·생물학과 배진우 교수,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조은경 교수로 구성된 공동연구팀이 방사선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장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단서를 찾아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Gut Microbes(IF 11.0, SCIE 최상위 Q1 저널)』에 게재됐으며 한빛사 논문으로도 선정돼 국내외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방사선 치료는 암 치료에 필수적인 수단이지만, 복부나 골반 부위에 조사될 경우 장 점막 손상, 염증, 설사 등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공동연구팀은 ‘ESRRA(에스트로겐 관련 수용체 알파)’라는 단백질이 장내 유익균 ‘Bacteroides vulgatus’를 유지함으로써 방사선으로 인한 장벽 손상과 염증을 완화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ESRRA가 결핍된 동물은 방사선 조사 후 생존율이 크게 떨어지고 장 조직 손상과 염증 반응이 심해졌다. 반면 ESRRA가 정상적으로 발현되는 경우, ‘B. vulgatus’가 장내에서 풍부하게 유지되어 장벽 회복과 염증 억제를 촉진했다.
한편, 공동연구팀은 이번 성과를 기반으로 추가적 임상 연구를 진행해 ESRRA 발현과 장내 미생물 조성이 환자별 부작용 예측 및 예방에 실제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검증할 계획이다.
메디컬프라임 / 백현석 기자 bc703@naver.com
관련기사
- 대형 뇌전이암, 분획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로도 치료 가능
- [충남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정재욱 교수 연구팀 국제학술지 논문 게재
- 건국대 김시윤 교수팀, 아산병원-하버드대-세종대와 ‘심장 유사체 칩’ 연구
- ERAS 기반 다중 통증관리, 마약성 진통제 줄이고 회복 앞당겨
- 항원제시세포를 활용한 결핵 백신‧치료 플랫폼 개발
- 한 번의 저선량 CT로 폐암 조기발견 가능성 확인
- 양쪽 무릎 동시 인공관절 수술 안전성‧효과성 입증
- [건국대] 김양미 교수팀, 결핵균 단백질 기반 새 치료 전략 연구 결과 게재
- [칠곡경북대병원] 성형외과 양정덕 교수팀, 유방 보형물 ‘구형구축’ 합병증 원인규명 연구 국제학술지 논문게재
- [부산대치과병원] 공공의료실 유정완 의료사회복지사, 학술지 논문 게재
- [충남대병원] 응급의학과 연구팀 심정지 생존자의 신경학적 예후 예측에 관한 최신 연구결과 국제학술지 『Resuscitation』 게재
- [아주대병원] 의료정보학교실 박범희 교수·이동윤 겸임교수 참여 논문, BRIC ‘한빛사’ 선정
백현석 기자
bc703@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