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프라임 백현우 기자] GC녹십자(대표 허은철)가 자사의 탄저백신 ‘배리트락스주(개발명: GC1109)’의 임상 2상 결과가 국제 학술지 ‘Vaccine’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배리트락스주는 GC녹십자와 질병관리청이 공동 개발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탄저백신이다.
이번 연구는 서울대학교병원,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총 5개 병원에서 진행됐으며, 건강한 성인 240명을 대상으로 백신의 안전성과 면역원성을 평가하기 위해 무작위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방식으로 수행됐다. 참여자들은 배리트락스주 또는 위약을 투여받았고, 연구진은 접종 후 생성된 항체 수준과 이상 반응을 면밀히 분석했다.
연구 결과, 탄저 독소를 중화하는 항체가 기준치 이상 형성돼 강력한 백신 효과가 입증됐다. 이는 배리트락스주가 실제 탄저균 감염 상황에서도 인체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중요한 결과로 분석된다.
이와 함께 안전성 평가에서 배리트락스주 투여군의 주요 이상 사례는 주사 부위 통증, 근육통, 피로, 권태 등 대부분 경미한 수준이었으며 일시적이었다. 또한, 급성 이상 및 사망 사례가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안전성이 확인됐다.
배리트락스주는 약독화된 균을 직접 사용하는 기존 방식보다 안전성이 높고, 필요시 신속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메디컬프라임 / 백현우 기자 bcbc703@hanmail.net
관련기사
- 하이, 범불안장애 디지털 의료기기 임상시험 결과 탑 저널 게재
- 전방십자인대 재건 시 최소침습 6가닥 힘줄 이식술 효과 국내 최초 입증
- 일리아스바이오로직스, 엑소좀 기반 신약 ILB-202의 1상 글로벌 임상 결과 국제학술지 JEV 게재
- 에이치이엠파마, 세계적 항노화 연구 성과 논문 게재
- 시노펙스, KSN-IAC 2025에서 혈액여과기 임상시험 결과 발표
- 아모레퍼시픽, AI 기반 피부 자극 자동 진단 기술 발표
- 린버크, 이전 TNF 억제제 치료 실패 류마티스관절염 환자 대상 직접비교연구 발표
- 마이크로젠타스, 독일 파티클메트릭스와 한국엑소좀학회(KSEV) 2025에서 공동 Wet Lab 진행
- 리소리우스, 뇌파 딥러닝 분석으로 ‘약물 반응성 예측’
백현우 기자
bcbc703@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