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프라임 백현석 기자]  국경없는의사회가 11월 18일부터 나흘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리는 세계 폐 건강 회의(World Conference on Lung Health)에서 자체 현장 연구 결과를 공개하며,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치료 의사결정 알고리즘을 소아 결핵 진단에 적용할 경우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아동 수가 거의 두 배로 증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해당 알고리즘은 실험실 검사 결과가 없거나 음성으로 나오더라도 증상이 결핵을 강하게 시사할 경우 의료진이 결핵 치료를 시작하도록 돕는 점수 기반 시스템이다. 국경없는의사회는 더 많은 소아 결핵 환자들이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각국 정책 결정자들이 WHO 알고리즘을 국가 지침으로 채택하고 신속히 시행할 것을 촉구했다.

국경없는의사회는 TACTiC(Test, Avoid, Cure TB in Children, 소아 결핵 진단·예방·치료) 연구 조사를 통해 2023년 8월부터 2025년 10월까지 우간다, 니제르, 나이지리아, 기니, 남수단 등 5개국에서 폐결핵 징후를 보이는 10세 미만 아동 1,846명을 대상으로 WHO 알고리즘을 실험했다. 

 

조기 결핵 진단을 받은 아동과 아버지, 국경없는의사회 직원과 함께 앉아 있다. 치료를 마친 그는 곧 학교로 돌아갈 예정이다. [제공=국경없는의사회 9월 촬영]
조기 결핵 진단을 받은 아동과 아버지, 국경없는의사회 직원과 함께 앉아 있다. 치료를 마친 그는 곧 학교로 돌아갈 예정이다. [제공=국경없는의사회 9월 촬영]

연구에는 중증 급성 영양실조를 앓거나 HIV와 함께 살아가는 아동도 포함됐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WHO 알고리즘은 결핵에 감염된 아동의 대부분을 정확히 식별했고, 평균적으로 결핵 치료를 시작할 수 있는 아동의 비율이 두 배로 늘었다.

WHO 알고리즘 도입은 의료진의 소아 결핵 진단을 돕는 실용적 방법이자, 아동이 적시에 치료 받을 수 있는 방법이다.

닥터 안젤린 도레(Dr. Angeline Dore) 국경없는의사회 TACTiC 프로젝트 기니 지역 책임자는 “이전에는 의료진이 기침 여부에만 의존했기 때문에 아동이 기침하지 않으면 결핵이 아니라고 판단하곤 했다”며 “WHO 알고리즘은 결핵을 시사하는 다른 징후들도 존재하기 때문에 기침에만 의존하지 말 것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메디컬프라임 / 백현석 기자 bc703@naver.com

 

저작권자 © 메디컬프라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