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 결과, 40세 이상 성인에서 낮은 엽산과 높은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전체 사망위험을 높여
[메디컬프라임 주형준 기자]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자료를 활용해, “혈중 엽산 농도가 낮으면서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높은 경우 사망위험이 높았다”고 전문학술지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농촌기반 동일집단 임상 정보와 사망원인 통계 자료를 이용한 2.1만명의 12년 추적자료 분석 결과이다.
그동안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사망위험의 관련성은 이미 알려져 있으나, 엽산 농도와 사망위험에 대한 근거는 부족했다.
이번 연구에서 엽산 농도가 낮은 남자는 전체사망과 심혈관질환 사망위험이 높았으며 고호모시스테인혈증을 동반한 경우 둘 다 정상범위인 군에 비해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위험 2.1배, 암으로 인한 사망위험은 1.4배 높았다.
한편 여자는 엽산 농도가 낮으면서 호모시스테인이 높은 경우 암으로 인한 사망위험이 높았으나, 엽산 농도만 낮은 경우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동일 열량 섭취 시 남자가 여자보다 엽산 섭취량이 낮았고 엽산 결핍 비율은 남자 17%, 여자 5%, 고호모시스테인혈증 비율은 남자 21%, 여자 6%이었다.
국립보건연구원이 추진하는 국가보건의료연구인프라구축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 성과는 영양 · 식사요법 분야 국제학술지에 최근 게재됐다.
연구진은 남자에게서 엽산 농도가 높을수록 사망위험이 낮아지는 것은 아니었으며 약 20nmol/L에서 가장 낮은 사망위험이 관찰되어 적정 엽산 섭취량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다.
관련기사
- 국립보건연구원,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동일집단 2023년 추적조사
- 유산소 신체활동과 저항성운동의 병행으로 고혈압 발생 위험을 44%까지 감소
- 국립재활원, 장애인 자립 및 일상생활에 필요한 적정기술 보조기기 3종 확산에 박차
- 유방암 추적관찰 기간 기준의 새로운 근거마련...재발환자 5명중 1명이 5년 이후 재발
- 질병관리청, 한국정책학회와 ‘2023 춘계학술대회’ 공동 주최
- 국산 의료기기의 베트남 수출 가로막던 장애물 없앴다!
- 인플루엔자 및 급성호흡기 감염증 증가세 지속
- 결핵퇴치로 한 걸음 더 다가가기 위한 민·관의 지속적인 노력
- 질병관리청, 국가 성매개감염 진료지침 개정
- 국립보건연구원, 줄기세포 활용해 코로나19와 독감 동시감염 과정 규명
주형준 기자
medicalprime77@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