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가구 대상 AI 초기상담 시범사업 시작
복지사각지대 발굴 및 지원 효율성 기대
[메디컬프라임 이민수 기자] 보건복지부는 지난 21일 인공지능(AI) 시스템을 활용해 위기가구에 대한 초기상담을 진행하는 시범사업을 발표했다.
이번 시범사업은 101개 시군구에서 진행되며, 인공지능 시스템이 위기가구에 전화를 걸어 복지도움이 필요한 상황인지 파악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는 현재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공무원이 일일이 전화를 걸어 초기상담을 진행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AI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상담을 목표로 한다.
복지부는 인공지능 활용 초기상담 정보시스템을 지난 2023년 7월부터 올해 5월까지 구축했으며,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시스템의 안정성과 사용자 편의성을 점검한 후 오는 11월 말에 전국 모든 시군구로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는 지자체 공무원이 위기 의심 가구에 직접 연락해 복지위기와 복지수요를 파악한 후 심층상담과 가구방문을 통해 사회보장급여나 민간서비스 연계 등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시범사업에서는 AI 시스템이 직접 위기가구에 전화를 걸어 시나리오에 기반한 상담을 진행하며, 이를 통해 발굴업무의 효율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후 지자체 공무원은 AI 상담 결과를 바탕으로 심층상담과 가구방문을 진행해 도움이 필요한 가구를 신속하게 지원할 예정이다.
시범사업 참여 지자체는 위기상황에 처한 주민에게 초기상담을 진행한다는 문자메시지를 사전에 발송해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며, 긴급하게 복지 도움이 필요한 가구가 신속히 연락할 수 있도록 담당공무원의 연락처도 함께 제공한다.
AI 시스템이 초기상담을 완료한 후 상담내용은 자동으로 지자체 공무원에게 제공돼 심층상담과 가구방문 등을 위한 자료로 활용된다.
임을기 복지부 복지행정지원관은 "일선 복지업무 현장에서 복지사각지대 발굴 때 인공지능을 활용해 어려운 이웃들을 더욱 촘촘하고 신속하게 지원할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복지부와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은 오는 9월 13일까지 제4차 복지사각지대 발굴 기간 중 101개 시군구가 인공지능 초기상담을 운영하도록 지원하고, 9월부터는 시군구 60%가 참여한 뒤 11월 하순부터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메디컬프라임 / 이민수 기자 medicalprime77@gmail.com
